윈도우 7 런칭행사에 참여해서 공짜로 받은 라이센스로 잘 사용하고 있었는데, 그걸 또 무료로 윈도우 10 으로 업그레이드를 해준다고 해서 냉큼 업그레이드를 했습니다.

원래 윈도우 재설치 하면 여러가지 프로그램 재설치와 이것저것 최적화 설정 건드리는게 귀찮아서 좀 미룰까 했는데, 친구가 업그레이드 설치하면 기존 응용 프로그램과 설정 그대로 유지된다고 해서 냉큼 시도 했다가 결국 여러가지 문제로 클린 설치까지 하면서 여기저기서 얻은 노하우를 정리 해 보았습니다.

1. 업그레이드 후 클린 설치

윈도우7 이나 8.x 에서 업그레이드를 할 경우 모든 설정과, 기존 설치된 응용프로그램이 모두 유지 되면서 업그레이드가 됩니다.

윈도우 성능향상을 위한 세세한 설정까지도 모두 유지가 되고, IE의 저장된 아이디와 비밀번호까지 그대로 다 유지가 되서 좋긴 한데, 새로 설치된 윈도우10 용 앱 실행이나 부팅시 PIN 넘버 사용해서 로그인을 할 경우 로그인 딜레이와 함께 시작 프로그램 실행시 시스템이 한동안 매우 느려지는 문제가 발생해서 해결 방법을 찾아 보았는데…

먼저 선택한 해결 방법은 윈도우 초기화 [시작 메뉴 – 설정 – 업데이트 및 복구 – 복구] 에서 ‘이 PC 초기화’ 항목을 이용을 시도 하였습니다.

이 초기화는 모바일 기기들의 기기 초기화와 비슷한 개념으로, 이 작업을 실행할 경우 모든 응용 프로그램을 삭제 후 초기화 된다고 하는데, 결과적으론 초기화 작업을 한참 진행하더니 오류가 발생하면서 실패하였습니다,다행스럽게도 원래대로의 윈도우 10 환경으로 정상적으로 돌아오긴 하는데… 여전히 부팅 속도 등의 문제는 지속되었습니다.

그래서 대안으로 선택한 방법이 바로 윈도우10 클린 설치, MS에서 제공하는 툴을 이용해서 설치 및 부팅용 USB 메모리를 만들어서 설치를 진행

가. Windows 10 설치용 프로그램 다운로드
– 관련링크: https://www.microsoft.com/ko-kr/software-download/windows10

나. NTFS로 포맷한 USB 메모리를 준비하고, 위 프로그램으로 언어와 버전에 맞게 부팅용 USB 생성

다. 클린설치 전 [시작 메뉴 – 설정 – 계정 – 계정] 에서 본인의 Microsoft 계정으로 로그인을 해서 연결 설정이 되어 있는지 확인

※ 윈도우7에서 바로 클린설치로 진행할 경우 라이센스가 없어서 적용이 되질 않음, 한번 윈도우10으로 업그레이드 후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으로 로그인을 하면, 해당 계정에 윈도우10 라이센스 정보가 저장이 되어 클린 설치 후 해당 계정으로 로그인을 하면 자동으로 적용이 됨

라. 윈도우의 즐겨찾기, 내문서의 개인 문서 등 필요한 자료를 모두 백업 후 USB 메모리로 부팅하여 설치 시작

※ 라이센스 키 요청시 다음에 입력으로 넘어간 후 설치 완료 후 Microsoft 계정으로 로그인 하여 라이센스 적용

여기 까지가 윈도우 10 클린 설치의 과정으로, 개인적인 소감으로는 업그레이드가 편리하긴 한데 역시 기존 버전에서 완벽하게 넘어온다는 느낌은 들지 않고 그냥 초기화를 하는게 속편한 느낌이네요.

2. Realtek 네트워크 장치 드라이버 업데이트 (WOL 이용시 필수)

WOL(Wake On LAN) 이라는 기능을 쓰는 분들이 많지는 않을텐데, 개인적으로는 PC의 전원 버튼을 이용하기 보다는 스마트폰의 WOL 앱을 이용해서 PC의 전원을 켜는 방법을 이용합니다.
이 경우 외부에서 원격 데스크탑을 쓸 경우에도, PC를 항상 켜놓지 않아도 필요한 경우에믄 PC를 원격으로 켜서 접속 후 종료 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개인적으론 아침에 일어나서 PC 켤때 침대에서 스마트폰 잠깐 보면서 빈둥거리는 과정에 WOL 앱으로 PC 전원 켜는데 쓰고 있긴 하지만 뭐 (…)

하여튼 문제는 윈도우10의 기본 설치된 Realtek 네트워크 장비 드라이버는 WOL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지식이 미천하여 설마 전원이 꺼진 상태인데 윈도우 드라이버가 WOL 기능에 관여를 할까 했는데, 관여를 하더군요 (…)

최종 적인 해결 방법을 먼저 말하자면, 최신버전의 윈도우 10 용 드라이버를 설치하면 해결, 문제는 이 드라이버가 Realtek 공식 홈페이지에는 제공이 되지 않고 8.1용 드라이버만 업데이트가 되어 있습니다. 이 드라이버로 설치하면 WOL 기능은 동작하긴 하는데, 간헐적으로 부팅시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해서 메인보드 제조사들에 제공된 윈도우 10 용 드라이버를 찾아서 설치 완료

– 윈도우 10 용 드라이버 다운로드 링크: http://www.mediafire.com/download/ae9r3mdr1o47d7q/
realtek_lan_10.002.0703.2015.7z

※ 부팅시 인터넷 연결 오류 문제는, 어도비 봉쥬르 관련 충돌 문제라는 설도 있고 DNS Client 서비스 관련 문제라는 설도 있는데, 제 PC는 해당 문제 발생하여 최신 버전 드라이버 설치와 함께, [제어판 – 관리도구 – 서비스] 에서 ‘DNS Client’ 항목을 사용 안함 으로 설정하여 일단 아직까지는 문제가 재발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 재발함

3. 엣지 대신 인터넷 익스플로러 11을 기본 브라우저로 사용하기

윈도우 10 부터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대신 엣지 브라우저가 기본 브라우저로 제공됩니다. 국내 웹을 주로 사용할 경우에는 국내 웹들의 문제로 정상적으로 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인터넷 익스플로러 11버전을 사용할 수 밖에 없습니다.

[시작버튼 – 설정 – 시스템 – 기본 앱] 에서 웹 브라우저를 인터넷 익스플로러나 원한다면 크롬을 설치 후 크롬으로 설정 하면 됩니다.

그리고 바탕화면에 인터넷 익스플로러 11용 아이콘을 바로가기가 아닌 설정까지 가능한 아이콘을 배치하고 싶은 경우에는 뭐 네이버 같은 포털에서 ‘윈도우 10 바탕화면 인터넷’ 같은 검색어로 검색하면 레지스트리 등록 파일 제공하는 곳이 많으니 그쪽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4. 윈도우 잠금 화면 없애기

윈도우7의 경우 부팅하면 바로 비밀번호 입력칸이 나와서 비밀번호만 입력하면 로그인이 완료 되는데, 윈도우10의 경우 잠금화면이라는 과정이 한번 더 존재합니다.
스마트폰의 잠금화면 같이 잠금화면용 이미지와 앱의 위젯이 나오는 화면이긴 한데 모바일 기기라면 모를까 데스크탑에선 매우 필요 없는 기능입니다.

가. 실행 ( 윈도우 키 + R ) 항목을 이용하여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 ‘gpedit.msc’ 실행
나. [컴퓨터 구성 – 관리 템플릿 – 제어판 – 개인 설정]
다. Do not display the lock screen (잠금 화면 표시 안 함)을 더블클릭
라. 구성되지 않음 항목을 사용으로 변경하고 적용, 확인
마. 재부팅

위와 같이 하면 부팅시 귀찮은 과정을 한단계 줄일 수 있습니다.

5. 윈도우10 원 드라이브 삭제

사용하지도 않는 기능을 유지해야 할 이유가 없으니 삭제!!
하기 관련 링크에서 원 드라이브 언인스톨 툴을 받아서 실행하면 삭제 됩니다.

– 관련링크: http://answers.microsoft.com/en-us/insider/forum/insider_wintp-insider_files/how-to-uninstall-onedrive-completely-in-windows-10/e735a3b8-09f1-40e2-89c3-b93cf7fe6994

6. 탐색기에서 내 컴퓨터 보이게 하는 법

윈도우 탐색기를 실행하면, 바로가기가 먼저 나오는게 영 맘에 들지 않았는데, 간단한 설정으로 내 컴퓨터가 먼저 나오게 설정이 가능합니다.

[윈도우 탐색기 – 설정 – 일반 – 파일탐색기 열기] 항목을 ‘내 PC’로 설정하면 간단하게 해결

7. 윈도우10 메모리 사용량 99% 사용과 같은 이상 동작시 조치

네트워크 모닌터링 서비스가 과도한 리소스를 사용하여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로, 레지스트리 항목에서 서비스 중지로 변경하여 해결

[ HKEY_LOCAL_MACHINE\SYSTEM\ControlSet001\Services\NDU ] 항목에서 Start의 값을 4로 조정 후 리부팅

 

8. 작업표시줄의 IME(입력표시기) 알림 항목 완전히 비활성화 하기

[시작 메뉴 – 설정 – 시스템 – 알림 및 작업] 에서 비활성화가 가능하긴 하지만, 이 설정을 이용하여 비활성화 하면 조금 사용하다 보면 비활성화 한 항목이 보란듯이 부활해서 사람 짜증나게 합니다.

완전히 비활성화 하려면 [제어판 – 언어 – 고급설정] 에 들어가서 ‘입력 방법 전환’ 항목의 ‘사용 가능한 경우 바탕 화면 입력 도구 모음 사용’에 체크를 하고, 그 오른쪽에 위치한 ‘옵션’ 으로 들어가면 ‘입력 도구 모음’에 숨김 항목이 있으니 여기서 설정하면 됩니다.

– 마치며

뭔가 빼먹은 Tip 들이 분명 여러가지 있을텐데 나중에 생각나면 추가 하죠 뭐…

윈도우 10은 생각보다 잘만든 OS 입니다. 단 정식버전이라고는 하는데 아직까지도 좀 미묘하게 미완성이다 스러운 부분도 많고 그렇긴 하네요.
호환성 문제를 많이 걱정했는데, 각종 응용프로그램들 설치하고 사용을 해 보아도 아직까지 큰 문제가 생긴 부분은 없습니다. 뭐 그런부분들은 업데이트를 통해 패치를 할테니 그걸 기다려 봐야겠네요.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