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들어가며

제 인생 최초의 Nvidia 제품이 VGA가 아니라 셋톱박스가 될줄은 몰랐습니다.

Nvidia Shield 제품의 경우 많은 분들이 아마도 게임에 특화된 태블릿으로 알고 계실것으로 보입니다.
근데 이놈은 거치형 셋톱박스 입니다. 입력 장치는 리모콘이나 게임패드를 써야하고, TV가 없으면 무용지물인 물건이죠.

사실 이놈은 살짝 충동구매이긴 한데, 제 라이프 스타일에 꽤 어울리는 물건이라 구매 후 만족하고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제품이 강조하는건 사실 게임이긴 한데, 저는 동영상 감상을 목적으로 구입을 했습니다.

현재 구성은 NAS를 구성하고, 로컬 네트워크로 Shield TV를 통해 KODI로 영상을 보는걸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기존에는 크롬캐스트를 TV에 연결해서 아이패드의 nPlayer 로 구글캐스트를 통해 시청을 했었는데,
이 경우에는 크롬캐스트의 스펙문제로 FHD 영상은 제대로 감상 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 스펙

일단 자세한 스펙은 공식홈페이지의 내용을 참고 하시는게 편할 거 같습니다.

기본적으로 Shield TV는 현존하는 안드로이드 기기중 가장 고성능의 기기 입니다. 그 덕분에 FHD는 물론 4K 영상까지도 무난하게 재생이 가능합니다.

또한 게임의 경우에도 ‘지포스 나우’에 가입하면 클라우드를 통해 다양한 게임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즐길 수 있습니다.

기본으로 제공되는 게임패드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로 연결되며 XBOX 시리즈의 게임패드를 연상케 하는 디자인과 조작감입니다. 다만 버튼 조작의 경우 MS나 SONY의 그것보다는 좀 조잡한 느낌을 주기도 합니다… 특히 패드의 볼륨 조절 버튼이 매우 조잡한 느낌이네요…

단 별매로 구매를 하는 리모콘의 경우 금속재질로 완성도 높은 마감을 보여주며, 심플하고 직관적인 조작이 상당히 맘에 듭니다. 리모콘은 블루투스로 연결되며 리모콘에 이어폰 단자가 제공되어 밤에 동영상을 볼때 유선 이어폰을 리모콘에 연결하면 다른 가족에게 피해 안주면서 감상이 가능합니다.

참고로 네트워크 연결은 유선으로 기가비트 연결이 가능하고, 무선 연결도 5G 연결이 가능합니다. 공유기가 가까이 있으면 유선 연결을 추천하며, 무선 연결을 할 경우 세로 거치를 해야만 수신율이 좋습니다… 가로로 거치하면 수신율이 좀 좋지 않더군요.

참고로 유선으로 연결해도 구글 캐스트 등의 기능은 사용이 가능합니다.

◆ 활용

  1. 게임

구매 후 OS 업데이트와 쉴드 자체 S/W 업데이트를 거치면 Geforce Now 게임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해당 제품 후기를 찾기 꽤 힘들지만 여기저기 찾아본 결과로는 SW 업그레이드를 하지 않으면 제공되는 게임을 무료로 할 수 있다고 하는데, 저는 업데이트를 하지 않으면 실행이 되질 않았습니다. 전부 업데이트를 완료 하니 게임들이 실행이 되긴 하는데, 엔비디아의 지포스 나우에 가입을 하면 기본 3개월은 멤버쉽 제공 게임을 무료로 할 수 있습니다. 신작 게임들의 경우에는 유료인데 아마도 신작으로 나오면 유료로 제공되다 일정 기간이 지나면 멤버쉽 가입자에 한해서 무료로 제공되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간단하게 스트리트 파이터 4를 실행 해 보았는데, 클라우드로 제공되는 게임임에도 불구하고 콘솔에서 실행하는것과 비슷한 느낌으로 플레이가 가능했습니다.
딜레이는 존재하지 않았고 로딩도 느린편은 아닙니다. 단 역시 게임패드가 영 맘에 들지 않더군요…

안드로이드 게임들도 플레이는 가능하지만 특별히 관심있는 게임이 없어서 아직 해보진 않았습니다. 아 플레이스토어 보니 ‘길건너 친구들’이 있어서 한번 받아봤는데, 리몬콘만으로 플레이가 가능해서 좋더군요. MAME 로 에뮬레이터 게임도 가능하지만 ROM이 없어서 실행은 해보지 않았습니다.

개인적으로 궁금한건 컨트롤러의 경우 USB로 연결하는 아케이드 스틱 같은게 동작을 할지가 궁금합니다. 키보드와 마우스의 경우에는 USB로 연결을 하면 정상적으로 동작을 합니다. 무선 마우스 조차도 동글을 본체에 연결하면 정상 작동을 하는데 아케이드 스틱같은 경우 어찌 될지 궁금하긴 하네요… 이게 된다면 대전 격투 게임을 하는데 있어서는 매우 큰 장점이 될 수도 있을거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게임과 관련되어 트위치 방송이 제공됩니다. 영상 녹화도 가능한데 구글 플레이 무비 같은 저작권이 있는 영상들은 화면은 녹화가 되질 않습니다. KODI로 재생중인 영상은 녹화가 가능하긴 하더군요.

  1. 동영상

현재 제 시스템 구성은 제 방에서 WD My Cloud를 NAS로 운영하고, 32인치 TV를 방에서 사용중입니다. 컴퓨터도 바로 옆에 붙어있기는 한데 침대에 누워서 조작하기에는 PC 보다는 TV를 통한 시스템이 편하더군요.

기존에는 크롬캐스트와 아이패드를 연동해서 이용했습니다. 이 경우 사용도 TV와 아이패드를 둘 다 이용해야하니 번거롭기도 하고,
크롬캐스트의 성능 문제로 FHD 영상은 제대로 재생을 못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쉴드 TV의 경우 4K 영상까지도 재생이 가능하다고 하니
현재 주로 사용 할 수 있는 FHD 영상은 가볍게 재생이 가능힙니다.

동영상 재생은 플레이스토어에서 KODI를 다운로드 받아서 이용중입니다. NAS의 영상도 SMB나 FTP등 다양한 프로토콜로 연결하여 시청이 가능합니다.
인터페이스가 게임패드를 이용하면 좀 불편하긴 한데, 마우스나 리모콘을 이용하면 편하게 사용 가능합니다.

정식 유통되는 동영상의 경우 구글 플레이 무비를 이용하는데, 화질도 볼만한 편이고 컨텐츠도 많아서 더 활용도가 높아질것 같습니다. 뭐 어차피 TV에 올레TV도 연결되어 있어서 큰 필요성은 없지만 이벤트 같은거 할때 쓰기엔 좋겠죠. 추가적으로 넷플릭스도 곧 정식 서비스를 하니 가입을 하면 미드 보는데도 좋을거 같네요

유튜브도 스마트폰 이상의 반응속도를 보여주면서 쾌적하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단 키보드 없이는 타이핑으로 검색하긴 좀 귀찮긴 하지만, 음성 검색이 꽤 정확도가 높아서 주로 음성으로 검색을 해서 사용중입니다.

  1. Android APP

안드로이드 구글 플레이 스토어가 TV의 경우 별도 카테고리로 운영이 되는데 사실 앱이 굉장히 적습니다.

TV 연동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대부분 영상 관련 앱과 게임 앱이 대부분입니다. 심지어 크롬 웹 브라우저도 없어요. 딱히 필요가 없어서 대체 웹 브라우저를 진중하게 찾아보진 않았는데 딱히 보이는건 없더군요. 사실 있어도 그냥 가까이 있는 스마트폰을 쓰거나 PC를 쓰지 딱히 TV로 뭔가를 할거 같진 않습니다만 MS Office 앱이나 구글 DOCS 같은 앱들은 연동이 되면 필요한 분들은 쓰임새가 있을거 같은데 좀 아쉽긴 합니다.

◆ 마치며

배송비 포함해서 20만원 미만으로 구매하였는데 만족도는 높은 편 입니다. TV를 통해 영상을 보려고 MS와 구글의 크롬캐스터 류 장비들을 사용해 보았으나 상당히 부족한 성능과 불편함에 실망했었는데 이번 쉴드 TV의 경우 성능 및 편의성 면에서 높은 점수를 주고 싶네요.

영상만 시청하기에는 구글의 넥서스 플레이어도 좋은 선택일 수 있을것 같은데, 저는 스펙면에서 좀 여유를 두고 싶어서 쉴드 TV를 선택하긴 했습니다. 영상만 보실분들은 한번 비교해서 알아보시는것도 좋지 않을까 합니다. 단 게임을 같이 하기에는 쉴드 TV가 좋은 선택일것도 같네요.

This article has 2 comments

  1. Extey

    답변이 늦어 죄송합니다.

    쉴드TV를 유선으로 연결하더라도, 무선랜 기능으로 스마트폰과 연결은 가능합니다. 특별히 활성화를 따로 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가능하더군요.

댓글 남기기